1264: Out of range value for column 'readed' at row 1 update tb_news set readed=readed+1 where no='128863'
미국의 십대교회 연구 2005-12-19 14:55:22 read : 65536 내용넓게보기. 프린트하기
목 차
Church on the Way ……… 3
윌로우 크릭 커뮤니티 교회 ……… 11
뉴져지 평안교회와 패러미스 커뮤니티교회 … 28
Saddleback Church ……… 29
Crystal Cathedral ……… 44
Calvary Chapel ……… 46
The vineyard Christian Fellowship …… 49
New Life Community Church ……… 55
Focus on the family ……… 59
빌리그레함 박물관 ……… 62
Moody Bible Institute ……… 64
Moody Church ……… 68
Crenshaw Christian Center ……… 74
레포트/윌로우크릭 커뮤니티교회 연구 … 76
Church on the Way
L.A 타운에서 북쪽으로 약 30분가량 운전해 가면 밴 너이스(Van Nuys) 지역에 위치한 '처치 온 더 웨이(Church on the Way)'가 있다. 이 교회는 최근 미국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교회 가운데 하나이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가운데 하나는 틀림없이 그 교회의 담임목사인 잭 헤이포드(Jack Hayford)가 훌륭한 목회자요, 설교가이며, 지금 미국교회에서 존경받는 목회자 가운데 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 교회의 예배에 참석하면 우선 살아있는 느낌을 받는다. 약 만여명의 교인이 출석하는 이 교회의 주일예배는 성령님이 강하게 역사하심을 느끼는 찬양과 말씀, 그리고 미국 신자들 가운데 보기드문 충만한 기도가 있다. 또한 잘 정돈된 주일학교(Sunday School)및 인근 주민들을 위한 다양하고 효과적인 전도 프로그램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오를 통한 잭 헤이포드의 설교는 미국 전역에 걸쳐 방송되고 있으며, 그 사역의 크기는 가히 놀랄 만하다. 현재 앞서가는 많은 미국 교회들 가운데 한국교회가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회 스타일을 꼽는다면 바로 이 'Church on the Way'라고 는 생각한다.
1. 잭 헤이포드(Jack Hayford), 그는 누구인가?
Church on the Way를 소개하기 위해서는 이 교회의 담임인 잭 헤이포드를 먼저 소개해야 할 것 같다. 잭 헤이포드는 어려서부터 부모를 좇아 오순절 계통의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면서 청년기 시절에 국제 포스퀘어 복음주의 교단(International church of Foursquare Gospel)의 멤버로 가입을 하였다. 로스앤젤레스 근교에 있는 라이프성경대학(Life Bible College)에 입학, 성경을 배운 후 LA근교 대학에서 1956년도에 학사과정을 수석으로 졸업했다..
그후 곧 미 중부지역에 있는 오랄로버츠대학에서 목회학 석사를 마친 뒤 목사가 되었고, 또한 캘리포니아신학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아 훌륭한 목회자이자 신학자가 되었다.
그가 중생의 체험을 한 것은 청년기로서 그 당시에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무명의 전도자 오랄로버츠목사가 주관한 '텐트 부흥집회'에서였다. 당시 수많은 병자들이 기도를 통해 치유받는 모습을 보고 살아있는 하나님을 체험하게 됨으로써 살아 역사하시는 메시지를 생생하게 전하는 설교자로 자라게 된 것이다.
1960년부터 5년간 포스퀘어교단의 전국 청소년 사역 총재 및 국제 부총무직을 훌륭히 감당해 낸다. 이때의 경험이 현재 Church on the Way의 주일학교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위의 청소년 사역을 간단히 설명하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보이스카웃이나 걸스카웃과 같은 형식으로, 유니폼을 입고 철저한 성경규칙을 갖고 공동체 훈련을 하는 것으로서 선교사, 혹은 사회의 빛과 소금의 역학을 잘 감당하는 프로그램이다.
초등학년부터 고등학교까지의 학생들이 받는 훈련인데 국제 잼버리대회와 같은 대형집회를 1넌에 한번씩 가진다. 이 프로그램의 이름은 남학생들에게는 로얄 래인저(Royal Rangers), 여학생들에게는 미셔네트(Missionett)라 부른다.
1965년부터 1973년까지 모교인 라이프 성경대학에서 교수로 또한 학장으로 일하다가 1977년부터 1982년까지는 그 대학의 총장직을 역임했다.
이러한 많은 사역을 통해 지금의 교회인 Church on the Way를 1969년부터 목회해오고 있다. 이 교회는 1920년부터 있어온 교회이지만 잭 헤이포드목사가 부임하기 전까지는 이렇다할 성장을 보이지 못한 교회였다. 그러나 그가 담임하면서부터는 큰 성장이 이뤄졌다.
잭 헤이포드목사의 개인적인 사역활동도 화려하다. 60년대 유명했던 "모든 가정에 그리스도(Every Home For Christ)" 운동 본부장을 맡았었고, 국제교회 성장 본부장 등을 맡아 훌륭히 수행해 낸 능력자이다.
대다수 미국인이 시청하는 텔레비젼 프로에도 여러번 출연, 특히 '메리 그리핀 쇼'나 데스카폴의 '프라임 타임'에도 출연하였다.
Church on the Way에서 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성경교사로 미국 전역에 알려져 있으며(- 이 라디오 사역을 통해 들어오는 헌금 액수는 연간 수백만불을 초월한다), 세계적 대회인 로잔세계복음화대회 위원장직을 역임했다. 또 1985년에는 그 해의 성직자상-베스컴부-을 수상했고, 1988년도 미국의 종교인상을 수상했으며, 그외 다수의 인물상을 수여받은 목회자이다.
그가 집필한 20가지 이상의 저술서 가운데 베스트셀러가 여러 개이며, 그 중에는 'Taking Hold of Tomorrow' , 'Rebuilding the Real Yoy', 'Worship His Majesty'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음악가로서 그가 작곡한 곡은 350여곡이 넘는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곡은 '영광의 주님 찬양하세(Mejesty)'와 'We life our voices rejoicing'등이 있다. 특히 영광의 주님 찬양하세'와 같은 곡은 전세계적으로 기독교인들에게 애창되고 있으며, 그의 교회에서는 예배 때마다 거의 매번 불리워지고 있다.
이 곡이 쓰여지게 된 동기는 그가 영국으로부터 초청을 받아 영국 왕궁을 방문했을 때,. 수많은 호위병들의 호위와 군악대의 음악이 퍼지면서 영국 왕가들이 받는 그 웅장함에 경탄하는 순간, 만왕의 왕이요 만주의 주님이신 예수님이 받으실 그 호위는 영국 왕가의 것보다 훨씬 더할 것이라는 생각에 그날 저녁 밤새워 기도하면서 작곡한 곡이라고 한다. 뿐만아니라 그는 설교 가운데 예수님으로부터 받았다는 영감적 이야기(Spiritual Impression)를 종종 하는 것으로 보아 작곡, 설교 등 목회의 근본을 성령님의 영감에 의존하는 섬세하고도 예민한 영적 지도자임에 틀림이 없다.
한 예로 그가 Church on the Way를 담임하고 몇 년동안 큰 성장을 이루지 못할 때의 일이다. 어느날 낮에 차를 몰고가는 도중 인근 교회를 지나가게 되었는데, 그 교회는 당시 근방에서 가장 큰 교회인 벤너이스침례교회였다. 잭 목사의 마음에는 질투가 생기면서 그 교회를 쳐다보기도 싫었다고 한다. 그 순간 성령님의 음성이 들리기를 "이 교회는 너의 교회가 될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그는 얼굴이 달아오름을 느끼면서 마음의 질투심을 주님앞에 고백하며 회개하였다. 그후 10여년이 지난 지금 당시 최고의 교회였던 벤너이스침례교회를 Church on the Way가 인수하여 본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 이외에도 성령님의 감동을 간증하면서 실제 벌어진 이야기는 수없이 많다.
Church on the Way는 1920년에 세워진 포스퀘어교단의 교회중 가장 오래된 교회 가운데 하나이다. 1969년 잭 헤이포드목사가 시무하기 전까지는 별 특징이 없던 조그마한 교회였었으나, 1970년 초기부터 그 교회가 위치한 지역인 산페르난도 전역에서 일어난 '예수운동(Jesus People Movement)'의 구심점이 되었다.
2. 교회의 특징
1) 교회의 이름들
교회의 원래 이름은 '밴나이스제일포스퀘어교회'였으나 잭 헤이포드목사의 기발한 아이디어로 교회의 이름부터 본당의 이름 등 특별한 이름을 명하는 특징이 있다.
교회 주보의 겉표지에는 이런 글이 적혀있다. "우리를 Church on the Way(번역하면 길도주중회)라 부르는 이유는,
⇒ 지역 : 벨리 전역의 중심부에 위치한 셔먼웨이(Sherman way) 길의 도중에 있으며,
⇒ 방향 : 오늘도 사역의 길 도중에 있으며,
⇒ 강조점 :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는 즉 길이요 진리요 생명되신 분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교회본당이 두 곳임도 특기할 만한데, 한 곳의 이름은 '거실(Living Room)'이며, 다른 곳의 이름은 '왕궁(King's Place)'이다. 이름대로 '거실'의 의미인 아기자기하며 사랑의 분위기가 넘치는 곳이 곧 예배당이며, 만왕의 왕 만주의 주가 계신 곳이 '왕궁'의 예배실임을 표현할 때 잭 헤이포드목사의 목회관이 엿보인다.
2) 예배시간과 장소
주일 아침 9시에는 3천여명 좌석의 본당 두 곳(거실과 왕궁)에서 각각 동시예배를 가진다. 아침 9시 예배때는 잭목사가 '거실'에서 예배를 인도하다가 중간 기도시간에 차를 타고 '왕궁'으로 가서 설교를 한 뒤 '거실'에서 축도를 하면서 예배를 마친다. 물론 대형 스크린으로 양쪽에서 진행되는 예배가 TV 중계된다. 11시 예배는 '거실'에서만 갖는데, 주위에 많이 거주하는 스페인계 소수민족을 위한 동시통역 예배를 함께 가진다.
얼마 전부터 토요예배를 가지기 시작했는데 저녁 5시에 갖는다. 이것이 주일 1부 예배. 토요일 저녁 주일 1부 예배는 요즘 미국교회의 새로운 양상인데, 주일에 행해지는 예배 형태와 설교, 찬양등이 동일하게 엮어지는 예배이다. 토요 저녁 주일 1부 예배의 광고 문안은 이러하다.
"언제부터 주일 아침 예배가 토요일 저녁에 Church on the Way에서 행해졌는가?
언제부터? 그것은
- 사람들이 주일에 일을 하기 시작하면서
- 사람들이 주일에 타지역을 방문하기 시작하면서
- 주일 예배에의 초청을 받아들이지 않은 사람들을 초청하기 시작하면서
- 그저 주일 예배를 토요일 저녁에 갖기 원하는 그 때부터.
그리하여 Church on the Way는 토요일 저녁 왕궁예배실에서 예배를 마련했습니다.
토요 저녁예배를 왜 주일 예배라 부릅니까?
그 이유는 주일 아침 에배의 모든 내용과 같기 때문입니다.
예배 소요시간은 1시간 30분.
그래서 주일 예배이며, '주일 1부 예배'라 부릅니다.
나오셔서 토요일을 주일 아침의 일부로 만드십시오!"
3) 예배 도중 '기도서클'
예배는 약 20분 정도의 찬양과 경배로 시작하고, 말씀 전에는 항상 '기도서클'로 통성기도를 한다. 기도서클은 3-5사람씩 손을 잡고 서로를 위해 기도하며 인도자의 제목에 따라 기도한다. 약10-15분 정도 기도하면서 인도자의 기도로 마치게 되는데 "우리의 싸움은 혈과 육에서 난 것이 아니요 정사와 권세와 악의 영들에 대함이라"라고 말씀을 선포하며 보이지 않은 영의 세계에서 우리가 기도함으로 많은 역사가 현재 이루어지고 있다고 강하게 외칠 때 많은 신자들은 은혜의 도가니 속으로 들어감을 체험한다.
4) 주 보
대부분 미국교회가 그렇듯 주보의 어느 곳도 예배의 순서와 담당자 이름을 기입해 놓은 것을 찾아 볼 수 없다. 그러나 주보는 항상 여러 가지 내용을 담아 두툼하다. 항상 있는 것은 당일 설교의 요약지가 삽입되어 신자들에게 설교자의 메시지를 쉽게 파악하도록 도와준다.
대부분의 주보 내용은 오는 주간에 일어나는 갖가지 행사와 성경공부 및 훈련 모임들의 광고지로 쓰여지는데 그 사역 모임을 알리고 있다. 많은 경우 본 교회 모임 광고 외에 주변 기독행사의 전단 등 내용을 삽입하기도 한다.
5) 설교 전 생일카드 읽기
잭 헤이포드목사의 유머감각은 프로급이다. 그는 항상 설교를 생일카드 읽기로 시작한다. 유머스런 생일카드를 읽음으로 청중들로 하여금 폭소를 자아내게 하며 예배의 분위기가 화기애애해 진다. 잭 목사의 이 방법을 매 주일 약 10여년 이상이나 해왔는데 그것은 본인이 받은 유머스런 생일카드를 설교 전에 한 번 읽은 것이 히트를 친 것이다. 그 후 또 한번 하면서 신자들이 생일이건 아니건 간에 유머스런 생일카드를 발견하여 담임목사에게 보내주게 되었다. 본인이 보내주는 카드가 읽어질까 해서이다.
3. 교 회 론
이 교회의 안내 책자에 실린 내용은 자세하며, 따라서 그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교 단
Church on the Way가 속한 교단인 포스퀘어 복음주의 교단은 4가지 진리를 강조한다. '포스퀘어'란 말을 직역하면 '4개의 정사각형'이라는 말이다. 그들이 강조하는 4개의 진리를 상징적으로 그림을 그려 4개의 정사각형을 넣고 교단의 로고를 쓴다. 본단 두 곳도 강단위에 이 네 개의 로고가 새겨져 있다.
- 십자가 :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 (요 3:16, 행 4:12)
- 비둘기 : 세례자 예수 그리스도 (막 1:8, 행 2:4)
- 기름병 : 치료자 예수 그리스도 (히 13:8, 약 5:14-15)
- 왕 관 : 재림자 예수 그리스도 (요 14:3, 살전 1:16-17)
(2) 신약시대 교회로서의 강조점
a, 말씀 우선주의 (Adherence to the Word of God)
: 교회 역사적으로 볼 때 말씀이 경시될 때마다 영적으로는 평형을 잃게 되고 오류에 빠지게 되기 때문이다.
b. 예수 찬양주의 (Exaltation of the Lord Jesus Christ)
: 삶의 모든 영역에 예수의 장엄함을 인식하며 구원자, 세례자, 치료자, 재림자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인정한다.
c. 성령 사역주의 (The Ministry of the Holy Spirit)
: 성령의 사역은 예수를 높임에 있고, 성령님께 반응하는 자에게 풍성하고 풍만한 삶으로 인도 하신다.
d. 초교파 주의 (Interdenominational Fellowship)
: 믿음으로 중생한 자들의 모임이 교회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한 몸임을 인식한다.
e. 신자들의 사역주의 (The Ministry of the Believers)
: 성령충만한 신자들은 하나님 나라의 전권대사임을 인식하며 목격한다.
(3) 교회로서의 기본적 진리를 수호한다.
a. 회개와 용서 (Repentance and Forgiveness)
예수께서 가라사대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웠느니라"(마4:17)고 선포하셨습니다. 그가 우리를 부르심은 죄를 고백하기 위함이요 새 생명을 허락하시기 위함입니다. 영원한 구원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어지며 현재와 미래의 영원 가운데 풍성한 삶을 살기 위함입니다.(요3;16, 10:10, 마10:32, 행4:10-12, 롬 5:1, 8:1)
예수 안의 '생명의 길'에 대해 들려 달라고 누구에게라도 여쭤주세요.
b. 물 세례 (Water Baptism)
예수 그리스도의 물 세례를 본받으라 했습니다.(마 28:19) 베드로는 "회개하고 예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사함을 얻으라"(행 2:38)고 했습니다. 세례 받기 원하시면 저녁예배시간 1시간 전에 교회 사무실로 오세요. (주일 4:30pm, 수요일 6:00pm, 왕궁예배실로. 타올과 갈아 입을 겉옷과 흰색 속옷을 준비하세요.)
c. 성령 세례 (Baptism in the Holy Spirit)
사도행전 1장 5절의 약속은 불변하신 예수님의 현실적용 내용입니다. "성령으로 세례를 받으라"(행 2:38, 39)의 약속이 진실로 받아 들여져야 합니다. 시간을 초월하는 축복은 우리의 것으로 받도록 되어야 있습니다. 성령충만을 경험하셨습니까? 오늘 예배후나 주중 언제라도 Church on the Way 목사님들은 이에 대해 상담이나 기도로 도울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습니다.
d. 신유와 자유케 함 (Healing and Deliverance)
믿음의 기도를 통한 예수 그리스도의 치유하시는 능력이 병든 자와 연약한 자를 고치심을 믿습니다. 교회 장로님(목사도 장로의 한 사람으로 봄)들과 스탭들은 야고보서 5장 14-16절에 의거한 하나님의 은혜를 위한 기도시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주일과 수요 예배후 "기도 사역방"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약한 상태는 보다 깊은 필요나 안내를 받음으로 치유되는 것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도움을 준비 했습니다. 도움을 원하시면 전화 주십시오. (818) 779-8000
이와같이 말씀과 사역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교회로 평생을 잘 유지하는 교회론을 가졌다고 볼 수 있으며, 흔히 볼 수 없는 깊은 성경 해석과 훈련을 겸비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은 물론 담임 목사의 자라온 배경과 학력 등 그의 지도력이 표출된 것이라 하겠다.
4. 목 회 철 학
잭 헤이포드목사의 성공적 목회생활에는 바탕에 깔려 있는 세가지 목회 철학이 있다.
첫째는 하나님의 왕국, 둘째는 예배의 개혁이며, 셋째는 하나님 나라의 확장에 있다.
하나님 왕국은 예수를 통하여 교회가 세상에 보여 주어야 할 내용임을 강조한다. 곧 현재는 하나님의 나라와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와 있고, 그것을 깨닫고 체험한 자는 천국 백성으로서의 삶을 살아야 한다. 그럴때 세상 사람들은 천국을 이 세상에서 바라보며 결국 하나님을 체험한다고 항상 가르친다.
천국생활의 삶 가운데 잭 목사가 가장 잘하는 것은 그의 투명한 삶의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본인의 실수나 잘못을 솔직 담백하게 설교때 털어 놓는다. 예배는 녹화되어 미전역으로 방영된다. 이때 특별히 편집하지 않고 예배의 상황이 그대로 방영되는데 오히려 그를 통해 예수의 모습이 비쳐진다고들 한다.
예배의 개혁은 '의무중심의 예배'를 배척하고, '찬양과 경배'를 통한 살아 움직이는 듯한 예배를 선호한다. 예배인도자가 꼭 찬양인도를 한다. 그것은 그가 하나님 앞에서 예배 드리는 모습을 성도들이 봄으로 그들도 하나님 앞에서 예배하는 자가 된다는 것이다.
은혜는 하나님이 주시는 것이지 설교자가 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목사는 왕적 제사장이요, 제사장인 목회자의 자세를 강조한다. 그래서 그 교회는 OHP를 양쪽에서 비추면서 얼굴을 들고 찬양을 하게 하며 찬송가는 쓰지 않는다.
성가대의 찬양은 있으나 자연스러운 복장을 하고 다양한 스타일의 선곡, 전통적인 모양을 탈피한다. 예배 도중의 회중 '기도서클' 등은 예배 철학에서 나온다. 심지어 예배도 TV나 비디오를 통한 메시지나 광고를 사용하기도 한다. 현대적 감각 적용에 뛰어나다.
하나님 나라 확장은 성도의 삶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확신하며 성도들이 힘을 합쳐 교회적, 교단적 차원에서 한가지 일을 해 나갈 때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한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이 교회에서는 개교회 차원에서의 선교는 지양하며 교단으로 선교헌금을 보내 교단선교 프로그램을 돕는다. 포스퀘어교단은 미국에서 두 번째로 선교를 많이 하는 교단으로 명성이 높다.
5. 교 회 의 사 역
이 교회는 다양한 사역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부흥회나 심방사역은 전혀 없는 것이 특징이다.
a. 새로운 남성 모임 (New Men, Ic.,)
담임목사와 함께 하며 한달에 한 번 모이는 모임으로 성경공부와 제자훈련, 기도, 봉사 등을 친교 형식으로 갖는다. 파트너식 기도 채무자 관계를 강조한다.
b. 여성 모임 (Women On the Way)
모든 여성이 참여할 수 있으며 영적 성장과 동참사역, 전도등을 통한 여성들의 삶의 극대화를 꾀한다. 여성 강사들의 특징을 통한 성장과 소그룹 활동을 통하여 관계를 증진시켜 여성의 은사를 발견, 봉사하게 한다.
c. 왕의 사역학교 (The King's Institute)
2년제 대학 과정을 이수하면 졸업장을 수여하는 평신도 사역학교(훈련소), 성경 사역 신학교라고 할 수 있다. 수업시간을 주중 오후시간과 토요일을 이용, 직장인들에게도 유용하게끔 되어 있다. 20여명의 신학박사 및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보통 신학교 수준을 능가하며 수많은 훌륭한 사역자들이 배출되고 있다. 학장은 본교회 수석 부목사가 맡고 있으며 학비는 상당히 저렴하다.
d. 기혼 부부모임 (Marriedcouples)
이 사역부에서는 여섯가지의 단계적 사역팀이 있다.
① 미혼 그룹 (Pre Married ) - 건강한 결혼을 준비하며 공부한다.
② 약혼 그룹 (Threshold) - 결혼 수주 이전의 약혼자 그룹이다.
③ 신혼 그룹 (Newly Married) - 하나됨과 대화법을 배우며 부부로의 길로 안내해준다.
④ 젊은 기혼자 그룹 (Young Married) - 1년에서 10년까지의 기혼자이거나 20대, 30대 기혼자들의 모임이다.
⑤ 중년 그룹 (Middle Married) - 35세 이상의 부부 혹은 10년이상 결혼한 기혼자들이다
장년 그룹 - 45세이상의 기혼부부 모임이다.
⑥ 청년부 (Young Adults, 25-29세) - 차세대 모임으로 목적을 가르친다. 예수를 효과적으로 전도하는 법을 배우며 그리스도 안의 풍성한 삶을 살게 하며 자라나면서 기쁨을 만끽하도록 배우는 모임.
⑦ 대학부 (College, 28-24세) - "컬리지 컨넥션"이라는 명칭으로 주님과의 성장 단계를 배우고 타인과의 파트너쉽을 기르는 모임. 도시내의 잃어버린 영혼들을 만나고 손길을 건네는 귀중한 모임.
⑧ 싱글청년 (Single Adults, 30세 이후) - 미혼의 극대화 성경공부, 소그룹 활동, 특별 세미나, 친교, 전도 혹은 봉사활동을 통하여 예수를 전하고 가까이 하는 그룹.
중등부 (7-8) -인생의 특별한 시기! "Rock Solid" 명칭으로 중등부 사역감당.
⑨ 고등부 (9-12학년) - 목적지향, 주체성 확립, 그리스도 안에서의 확고한 삶 등을 토론 하고 모임, 제자훈련, 영적 성장을 통하여 매주 재미있는 모임.
⑩ 어린이 사역부 (Children) - 영아에서 6학년까지의 사역, 게임과 활동 등을 통해 예수님을 알아가는 기초 단계 사역. 신생아 돌보는 사역은 모든 예배 때마다 준비하고 있음.
⑪ 장년부 (50세 이상) - 장성한 자들만이 누릴 수 있는 행복하며 특별한 필요 충족의 모임. 하나님이 주신 은사를 마음껏 뿜어 낼 수 있는 모임. 르네상스 성가단, 새찬송 가스펠 성가단, 여리고 콘서트 밴드부, 예루살렘 오케스트라 등의 그룹들은 성도들의 예배에 불씨를 당기는 사역을 하며 그외 어린이들에서부터 장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음악 프로그램 사역.
음악사역부(Musci) - 르네상스 성가단, 새찬송 가스펠 성가단, 여리고 콘테스트 밴드부, 예루살렘 오케스트리 등의 그룹은 성도들의 예배에 불씨를 당기는 사역을 하며 그외 어린이부터 장년에 이르기까지 수 남ㅎ은 음악 프로그램사역.
⑫ 체육, 오락 사역부 - 건강한 육체와 영적 성장, 친구 전도 등이 목적임. 기쁨으로 즐기면서 불신자 전도율 만점!
⑬ 라디오 TV사역
ⅰ. USA 라디오 사역 : 현재 미국 43개주에서 260여개 방송국에서 1년 365일 주말만 제외하고 30분짜리 "리빙웨이(Living Way)"가 방송되고 있다.
ⅱ. 인터네셔널 사역 : 해외 4개주 15여 방송국에서 잭의 설교가 통역되어 방송되고 있다.
ⅲ. TV사역 : 미 전역에 걸쳐 1시간짜리 프로그램과 30분짜리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으며 방송국은 약 300여군데에서 방출한다.
ⅳ. 해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두 군데 방송국에서 송출한다. 특기할 사항은 라디오, TV사역의 총책임자는 잭 헤이포드의 아들이 책임을 맡고 있으며, 방송국 본부는 교회 본당 지하실에다 장비를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한 헌금은 엄청난 액수이다.
⑭ 목회자 세미나 - 1년에 한번씩 4일간 열리는 목회자 세미나는 미국 전역에서 목회자들이 참석하고자 하는 유명한 세미나이다. 세계적인 강사들이 주 강사로 참석하며 매번 약 1500-2000여명이 참석하고 금년은 28번째 맞이하는 해이다. 매해 11월 중순경에 열린다.
⑮ 서점, 서적 사역 - 이 교회의 서점은 LA지역에서 기독교 서적을 가장 싸게 구입할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타 서점에서의 할인가격보다 저렴하게 판매함은 잭 헤이포드목사의 목회철학이기도 하다. 잭 목사의 무수한 저서들이 많은 가운데 신간된 성경공부 교재가 나와 화제거리가 되고 있다. 전권 24권으로 되어있는 성경공부 교재가 "성령 충만한 시리즈"로 발간 되었고, "성경발굴 안내 시리즈와 왕국 다이나믹 안내"(Bible Discovery Gukdes & Kingdom Dynamics Study Guide)의 두 부류의 성경공부 교재 중 미흡한 부분이었던 성령의 역사에 관해 충분히 보강된 교재로 주목을 받고 있다.
연락처: The Church on the Way
14300/14800 Sherman Way
Van Huys, CA 91405-2499
Internet - http://www. Livingway.org
윌로우 크릭 커뮤니티 교회
- 하나님 방식으로 주님의 몸을 이뤄가는 교회 -
과정지향적 목회로 구도자에게 초점을 둔 목회현장
미국의 교회들이 새롭게 움직이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에 한국교회 지도자 그룹들의 미국교회 견학도 줄을 잇고 있다. 최근 급부상한 미국교회들은 대부분 베이비 부머 세대 (Baby-Boomer Generation)들이 교회의 준거그룹(reference group)을 형성하고 있으며, 베이비 부머 세대의 문화적 옷을 입고서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하고 있다. 이중 대표적인 교회가 서부에서는 남부 오렌지카운티에 위치한 새들커뮤니티교회라고 할 수 있고, 동부지역에서는 시카고에 위치한 윌로우크릭교회라 할 수 있다.
윌로우크릭교회는 빌 하이벌스목사(Bell Hybels)가 담임하고 있는 교회이다. 윌로우크릭을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구도자에게 초점을 두고 사역하는 교회(providing a service for seekers)라고 할 수 있다. 윌로우크릭교회를 들어서면 교회라는 느낌보다는 큰 공원에 들어서는 기분이 든다.
넓다란 잔디밭과 인공 호수, 그리고 교회의 분위기가 나지 않는 현대식 건물이 잘 조화를 이룬다. 대단위 연구소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하고, 학교 캠퍼스와 같은 느낌도 든다. 물론 교회의 파킹량도 수천대를 수용할 수 있으리만큼 넓다.
건물 안에 들어서면 공항의 터미널에 들어서는 느낌을 받는다.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들이 사인판과 예배 및 각종 모임을 알리는 모니터이다. 공항의 이착륙을 알리는 모니터와 흡사한 모니터가 곳곳에 설치돼 있다.
로비에는 자연스럽게 교제할 수 있는 테이블과 의자가 약 3백 여명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넓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비신자라도 쉽게 그런 분위기에 적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Sunday School은 어린이들의 꿈나라(Dream Land)와도 같은 분위기, 예배시간은 늘 공연장과 같다. 설교의 서론 (Intro-Duction)이 늘 드라마(Skit Drama)로 시작하는 교회, 찬양... 이런 특징들을 열거하자면 이루 헤아릴 수 없다.
윌로우크릭교회는 과정지향적(Precessoriented)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해가고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먼저 다리 놓기(bridge-building)를 통해 관계를 형성한다. 이런 Relationship이 다져지면 입술로 증인이 되어(sharing a verbal witness) 관심을 보이는 자들과 초신자들에게 맞게 프로그램된 예배를 제공한다.
이 관계에서 좀더 성장하게 되면 기존 신자들을 위한 주중예배에 참여하게 되며, 나아
가 소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이 교회는 2천여 개의 소그룹이 있다. 다음 단계는 각자의 은사에 따라 봉사에 참여하고, 궁극적으로는 청지기 정신을 지닌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 존재케 하고 있다.
현재 출석교인은 2만여명, 예배당 크기만도 3에이커 정도의 규모에 달하는 대형 교회이다. 오늘의 윌로우크릭이 있기까지 숨은 이야기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이 교회의 담임인 빌 하이벨목사를 소개하지 않을 수 없다.
하이벨은 미시간주에서 기업을 성공적으로 경영하는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나 그도 장차 기업을 잇도록 되어 있었다. 그것은 그에게 안정적인 미래를 의미했다. 그러나 하나님의 계획은 다른데 있었다. 그에게는 돈의 가치도 중요했지만 그를 사로잡는 것은 적극적인 행동이었다. 그는 모험심이 대단히 강했다.
하이벨에게 영향을 많이 주었던 것은 어버지의 사랑이었다. 하이벨은 말한다.
"아버지는 정말 날 믿으셨다. 그리고 내가 나의 인생으로 성취할 수 없는 것은 없다고 생각하셨다."
그의 아버지는 전통적인 양식을 따르기보다 때로는 일반적인 양식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였다. 그것이 하이벨을 준비시키는 것이 되고 말았다.
그의 아버지는 하이벨이 1학년일때 픽업 트럭을 운전하게 했고, 5학년 때는 혼자서 30여마일 떨어진 스키장엘 보내기도 했다. 7학년 때는 45피트 보트를 몰았다.
15세가 되었을 때 그는 혼자서 아프리카와 유럽을 여행하기도 했다. 그의 아버지는 여행 같은 큰 일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아들을 그렇게 훈련시켰다. 그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잔인한 행동으로 비칠 정도였다.
또한 그가 몸 담았던 개혁장로교회(Christian Reformed Church)가 그에게 성경의 귀중함, 가정의 중요성, 믿음의 충실함과 인내 등을 가르쳤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의 사랑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의 선물은 깨닫지 못하고 있었다.
하이벨이 17세 되던 해, Awand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처음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는 구원의 감격을 누리게 되었다. 그는 그때의 감격을 이렇게 회상한다.
"사랑으로 인한 거져주는 구원의 선물을 깨달았을 때 가슴이 폭발하는 것 같았다."
이 때부터 그의 가슴에 심겨진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의 메시지가 그의 삶에 혁명을 이루었다. 아버지의 사업을 이어받을 계획으로 대학교에 진학, 공부하던 중 회의를 느끼며 8주간의 남미 여행을 하게 되었다. 이것이 또 한 번 그의 삶을 하나님의 소명에 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브라질 리오드자네로의 코파카바나 해변이 보이는 한 호텔 방안에서 무릎을 꿇고 자기의 삶이 하나님의 영원한 것에 헌신하겠다는 헌신의 기도를 하게 된다.
남미에서 돌아온 후 시카고에 있는 어와나 본부에서 일하면서 그는 Dave Holmbo라는 신앙의 친구를 만나게 되었고, 그와 함께 청소년과 젊은이들을 위한 'Son City'라는 전도모임을 시작하게 되었다.
1973년에 약 150명으로 시작된 모임은 2년후인 1975년에는 약 1,200명까지 참석하는 규모로 커졌다. 그러나 그곳에서 한계를 느낀 하이벨은 그 당시 사도행전과 Robert Schuller목사의 책을 읽으며 마침내 현재 윌로우크릭의 시초라 할 수 있는 교회를 23세 나이의 신학생으로 윌로우크릭극장을 빌려 시작하게 되었다. 그것은 일반적인 교회 형태의 전통적 개념을 떠나 완전히 새로운 목회 철학과 사역을 꿈꾸는 목회 비젼을 펼치게 된 것이다.
1978년, 그는 담임목사가 되면서 첫 당회를 조직, 3명의 장로가 선출되었다. 그후 윌로우크릭교회는 한 차례 어려운 시련을 맞게 된다.
창립동역자인 Dava Holmbo목사와 사이가 멀어지게 되고, Holmbo 목사는 그 다음해인 1979년 당회에 사표를 제출하였다.
그때부터 1981년까지 1,800명 교인 중 약 2백여명이 교회를 떠났고, 교역자들중 4분의 1, 리더들중 3분의 1 정도가 교회를 떠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어려운 상황은 빌 하이벨목사에게 목회철학과 비젼을 다시 점검하며 갱신하는 계기가 되었고, 윌로크릭커뮤니티교회의 장래를 하나님께 전폭적으로 맡기는 견인차 역할이 되었다.
그는 후에 이렇게 고백했다.
"나는 나의 약점과 한계를 너무나도 깊이 느끼며 기도했다. '하나님 아버지께서 한 번 만 더 일할 기회를 주시면 바르게 하겠습니다. 나는 윌로크릭커뮤니티교회를 하나님의 교회로 하나님의 방식으로 행할 것이며 하나님의 말씀을 바로 전하겠습니다.' 이것은 하 나님께 나의 깊은 서원이 되었다."
그후 윌로우크릭커뮤니티교회는 이런 빌 하이벨목사의 비젼과 결단을 가지고 "하나님의 방식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하나님의 교회"로 주님의 몸을 이뤄가게 된다.
- 하나님을 높이고 영적 은사 개발, 세상에서 빛이되게 -
관계형성→ 증거→ 구도자 예배→ 주중 예배→ 소그룹→ 봉사케
1. 목 적
윌로우크릭교회는 하나님을 높이고(Exalation), 신자들을 교화하며(Edification), 복음을 전하고(Evangelism), 사회에 기여하는(Social Action) 4가지 목적을 위해 존재한다.
1) 하나님을 높임 : 신자들에게 하나님을 예배하고 영화롭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2) 신자들의 교화 : 신자들에게 성경적인 이해의 기초를 닦고, 헌신적인 삶을 확립하며, 영적 은사를 발견, 개발하며,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하는 일원이 되도록 돕는다.
3) 복음전도 : 그리스도 없이 내세를 맞이할 사람들을 전도한다. 교회는 성경께서 믿지 않는 자들을 찾음같이 교인들로 하여금 그들을 찾아 나서도록 도와주며, 그리스도의 사랑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찾도록 격려한다.
4) 사회활동 : 말과 행위로서 하나님의 사랑과 의를 실증함으로 세상의 양심으로서 행동 한다.
2. 철 학
교회는 하나님이 이끌어 가신다. 그러나 철학이 있는 교회는 하나님이 그 철학을 사용하신다. 그러므로 현대 교회는 철학이 있어야 한다. 윌로우크릭교회는 다음의 기본적인 원리 위에 기초하고 있다.
1) 모든 신자들은 그리스도와의 동행하며 자신의 믿음을 증거해야 할 책임을 가지고 있다.
: 복음전도의 영적 은사를 받고 세상에 나가서 복음을 전하도록 소명을 느끼는 사람들은 소수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자신의 영향권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나아가서 그리스도와의 관계가 자신의 삶을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전하는 것은 모든 신자들의 책임이다. 비 신자들을 전도하는 교회의 효율성은 우리가 전도자로서 은사를 받지 못한 95%의 신자들을 움직일 수 있을 때 적극적으로 증가한다. 만약 우리가 그들의 전도 노력을 도운다면 그들을 움직일 수 있다.
윌로우크릭은 신자들의 믿지 않는 친구들이 교회에 올 때 그들이 거부감 없이 쉽게들을 수 있도록 그리스도의 메시지를 그들의 삶에 적절하게, 창조적으로, 그리고 오늘날의 스타일로 전달하도록 설계된 예배를 제공함으로서 신자들의 복음전도 노력을 보완하고 있다
2) 구도자들이 갖는 필요들은 기존 신자의 필요들과는 다르다.
: 예수 그리스도를 자신의 구주로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들은 기독교적인 용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들은 교회 예배에 참석하는 것을 꺼린다. 만약 참석을 한다 해도 기독교 원리들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들에게 사역을 할 때 교회는 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행해져야 한다.
윌로우크릭은 처음 교회를 찾는 사람들의 필요를 채울 수 있도록 특별하게 디자인된 예배(주말 새신자 예배)를 갖고 있다. 그러나 한편 이미 믿는 신자들의 필요도 잘 채워져야 하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주중 예배도 잘 디자인하고 있다. 이 예배는 성경강해설교를 통해 삶에 도전을 주고, 성찬식을 나누는 등 창조적인 방식으로 신자들이 하나님을 예배할 수 있도록 한다.
3) 신자들은 처음 신앙을 갖는 사람이 믿음을 결정하는 과정과 그리스도안에서 성장하는 개인의 신앙 여정을 존중해야 한다.
: 신학적으로는 개인이 예수 그리스도에게 헌신하는 것을 통하여 하나님의 가족으로서 태어나는 때가 있음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이러한 사건은 개인이 기독교인이 됨으로서 치러야 할 대가를 검증하고 살펴보는 일련의 과정 이후에 일어난다. 회심의 순간은 그 과정의 끝이 아니라 오히려 믿음의 여정이 시작되고 새로운 신앙에서 성숙의 과정으로 돌아가는 순간이다. 그 결과로서의 윌로우크릭은 실제로 사건중심보다 과정지향이 되도록 힘쓰고 있다.
4) 모든 신자들은 그리스도의 몸(교회)의 유익을 위해 하나님에 의해 은사를 받은 사역자이다.
: 윌로우크릭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의 몸을 이뤄가고 자라나게 하는 절대적인 지체로서 하나님에 의해 은사를 받은 자들임을 인정하기 때문에 모든 신자들이 봉사와 사역에 참여하도록 이들을 동원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교인들이 사역과 봉사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회가 신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은사를 발견하고 그것을 개발하며, 그것을 사역과 봉사를 통해 사용하도록 도전함으로서 이뤄진다.
4. 특 징
윌로우크릭커뮤니티교회를 특징 짓는 것은 앞에서 다룬 4가지 목적에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개발된 7가지 전략에 있다.
1) 관계를 형성함 (Bridge Building)
비 신자들을 교회의 생명력 있는 생활속으로 이끄는 것은 신자들이 이들 개인과 성실 한 관계를 세울 때에야 이뤄질 수 있다. 교회는 신자들에게 비신자 친구들과 성실한 관계를 세우도록 강력하게 도전하고 있다. 비신자들은 기독교로부터 고립될 충분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기독교 라디오 채널이나, 전도 스티커에 잘 감동되지 않는다. 자칫하면 그들에게 주어진 전도 문서들이 쓰레기통으로 던져지기 쉽다.
이들에게 나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비신자들과 성실한 관계의 개발을 통해서 가능하다.
2) 입술로 증거함 (Sharing a Verbal Witness)
일단 비신자들과 성실한 관계가 세위지면, 신자들은 그들이 간증을 나눌 기회를 갖는다. 이런 기회는 노력하는 사람에게 먼저 주어진다. 그러나 비신자들은 이런 간증에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내기는 어렵다. 이들이 적절하면서도 창조적이고 그들에게 호소력 있는 방식으로 그리스도의 주장들을 생각하도록 계속적인 도전을 받을 수 있는 장소로 이들을 데려가는 것이 중요하다.
3) 초신자를 위한 예배를 제공함
초신자를 위한 예배(a service for seekers)는 그리스도를 믿으려는 결심의 과정속에 있 는 사람들과 기독교가 무엇인지 알려는 사람들, 그리고 최근에 그리스도에게로 자신의 삶 을 헌신한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주말에 갖는 이 예배는 기존의 신자들이 비신자 친구들인 '해리', '메리'와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 이들의 복음적인 노력들을 보완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해리'와 '메리'는 전도대상을 삼는 비신자 남성과 여성을 대표적으로 통칭하는 이름) 세상 생활방식에 젖은 비신자들에게는 그리스도의 급진적이고 삶을 변화시키는 메시지가 당황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편안한 환경 속에서 메시지를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4) 기존 신자들을 위한 주중예배에 출석 (Attending the New Community Service)
한 번 예수님을 자신의 구주로 받아들이고 일정 기간동안 주말예배에 참석한 사람은 주 중 신자들을 위한 예배에 참석하도록 권유를 받는다. 윌로우크릭에서 "New Community" 라고 부르는 이 예배는 신자들에게 공동의 예배에 참여하게 하고, 그들이 성숙할 수 있도 록 의도된 성경 강해를 듣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예배는 온전히 헌신된 그리스도의 제자 가 되려고 하는 사람에게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5) 소그룹에 참여함 (Participating in a Small Group)
주중 예배에 참여한 신자들은 다음 단계로 소그룹에 참여하도록 권유받는다. 소그룹 참여는 참여자에게 상호책임성, 제자도, 격려와 후원은 물론 교제를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소그룹은 2년의 기간동안 매주 모이며, 8-10여명의 인원으로 구성된다. 이 기간동안 소그룹의 멤버들은 윌로우크릭의 소그룹 사역에 의해서 기획된 교과과정을 공부한다.
6) 봉사에 참여함 (Involve in Service)
윌로우크릭커뮤니티교회를 자신이 뿌리내릴 모교회로 여기는 신자들은 그들의 영적 은사를 발견하고, 그것을 개발하며 봉사의 어떤 형태로든 그 은사를 사용하기를 권유받는다. 신자들은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은사를 확인하고, 개발하고, 사용함이 없이는 그들의 영적인 잠재력을 경험하지 못할 것이다.
7) 청지기 의식 (Stewardship)
신자들은 돈을 관리하는 영역에서 교육받고 그들의 돈을 하나님을 영광스럽게 하는 방법으로 관리하는 개인의 책임을 인정해야 한다. 신자들은 빚지는 것을 거부하고, 재물을 탐하는 것을 중지하며, 자신의 수단 내에서 살고, 자신의 소유물에 인색하지 않고, 필요한 사람에게 나눠주며, 주님의 일에 너그러이 주는 것을 배워야 한다. 모든 신자가 청지기 의식이 제자도의 한 형태이며, 헌금이 예배의 한 형태임을 인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윌로우크릭은 이 7가지 전략을 가지고 '보조사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보조사역들은 윌로우크릭 사역의 핵심이다. 이 보조사역은 7가지 전략을 가지고 신자들을 돕는 역할을 한다. 약 85개의 보조사역들은 교회 내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데,
(1) 복음전도사역 (1-2단계)
(2) 구도자를 위한 예배 (3단계)
(3) 기존 신자를 위한 예배 (4단계)
(4) 소그룹 사역 (5단계)
(5) 네트웍 사역 (6단계)
(6) 청지기 사역 (7단계) 등이다.
윌로우크릭 지도자들은 교회 내에서 수행되었던 전략은 윌로우크릭커뮤니티교회를 향하신 성령에 의해서 개발된 청사진을 반영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이 전략은 윌로우크릭커뮤니티교회의 지도자들과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그들의 은사와 정열들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므로 위의 7가지 단계별 전략이 윌로우크릭커뮤니티교회에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것이 성경을 믿는 모든 다른 교회들에 대한 성령님의 청사진이라고는 믿지 않는다. 그것은 교회마다 하나님께서 주신 비젼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윌로우크릭커뮤니티교회의 사역에 참여하고 있는 지도자들은 하나의 예배라는 제한 속에서 복음도 전하고, 신자들도 양육하며, 동시에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과 각각의 영역에서 필요를 가진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사역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믿지 않는다.
1. 설문조사와 분석
구도자 예배는 1975년 교회의 설립에 앞서 교회의 지도자들에 의해 취해진 지역사회 조사의 결과로부터 발전되었다. 질문은 "당신은 지역 교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까? 하는 것이다. 조사 결과 교회출석에 전혀 흥미를 갖지 않는 사람들은 그들의 무관심의 다섯가지 강력한 이유를 가지고 있었다.
1) 교회는 언제나 돈을 요구한다.
(그러나 어떤 중요한 것도 돈의 사용을 통하여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2) 교회예배는 지겹고 생명력이 없다.
3) 교회예배가 판에 박은듯이 뻔하며 동일한 것을 마냥 되풀이 하는 것과 같다.
4) 설교는 현실의 세계에 뿌리를 두고 있는 일상생활에 부적합하다.
5) 목사가 사람들에게 죄책감과 무지함을 느끼게하고 그래서 불신자들은 그들이 교회 문을 들어올 때 보다 나갈 때에 더욱 비참한 감정을 가지고 교회를 떠난다.
이런 조사 결과를 심각하게 받아들인 지도자들은 교회를 포기한 사람들의 삶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교회예배를 설계하기 시작했다. 지도자들은 누구를 이 예배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막연히 비신자 모두를 대상으로 삼는 것으로 불충분했다. 그래서 예배 대상의 폭을 좁히고 특정적인 사람을 구도자 예배의 대상으로 삼고자 했다.
당시 교회 주변의 지역사회에는 전문직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그래서 25세에서 50세까지의 남성 전문 직업인을 주말의 구도자 예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복음을 전하는 것이 더 어려우며, 교회에 대한 그들의 요구가 보다 강경하기 때문에 예배는 이들을 중심으로 디자인 되었다.
여자들은 교회의 문제들에 보다 마음을 열고, 용서하며 쉽게 포옹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구도자 예배가 남성들에게 성공적으로 전달된다면, 여자들에게도 물론 전해질 것이다. 뿐만아니라, 전통적으로 남자는 가정의 모범역(RoleModel)이기 때문에 만일 남자가 가정의 영적인 생활에 참여하지 않으면 가정의 영적인 성장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2. 구도자 예배의 철학적인 원리들
기본적인 가치와 원리들은 어떤 중요한 노력을 시작하기 전에 확인되어져야 한다. 구도자 예배에서 무엇을 행하고, 무엇을 행하지 않을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 예배의 모양과 구도자들에 대한 태도를 결정할 기본적인 철학적 원리들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윌로우크릭 커뮤니티교회는 다음의 철학적인 원리 위에 세웠다.
1) 모든 사람들은 하나님께 중요하다. 그러므로 그들은 우리에게도 중요함에 틀림없다.
2) 길을 잃은 사람들을 찾아져야 하며 발견되어져야 한다.
3) 복음전도와 신앙교육은 기존 신자의 필요와 비신자들의 필요가 크게 다를 때 동일한 예배에서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없다.
4) 교회가 구도자의 영적인 여정을 존중한다는 것이 구도자들에게 전해지고, 허용되며, 정당하게 인정되어야 한다.
5) 구도자들은 (익숙하지 않은 교회의 분위기에) 당황하게 되거나 자신의 의사와는 다른 (무엇을 말하거나 헌금 따위의) 외적인 압력을 받거나 신분이 밝혀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
6) 탁월함 (교회의 모든 것에 탁월함을 유지시키는 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반영하며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진다.
3. 전 략
비신자가 교회에 오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물과 예배의 철학적인 원리를 파악함으로 윌로우크릭커뮤니티교회는 구도자 예배를 위한 전략들을 적극적이면서도 사려 깊게 개발하도록 하였다. 교회에 나가지 않는 사람이 교회에 관해서 경험하는 모든 면들이 이러한 장애물과 원리들을 통하여 걸러져야만 이들에게 복음의 메시지를 가장 잘 전할 수 있는 방법들을 결정할 수 있다.
* 초신자 예배의 요소들
1) 우리 자신의 지역사회에서부터 시작하여, 세상을 복음화하라고 하는 성경의 명령을 믿음.
2) 하나님의 왕국에서 어떤 사람도 결코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려는 열망.
- 이를 위해서 동시대적이고 창조적인 것에 전념.
3) 구도자들의 익명성을 깊이 존중.
4) 구도자들이 결정을 내리는데 시간이 필요함을 이해.
- 그러므로 강조점은 구도자가 예수님을 영접하는 행사에 있지 않고 영접하는 과정에 있음.
5) 우리가 하는 모든 일에 탁월함의 필요성을 인지함.
- 특별히 하나님의 성품과 속성을 전달하는 것들에 있어서
6) 사람들이 그들의 시간, 재능, 그리고 재물 때문에 교회에 나오지 못하는 이유를 두려는 것을 이해함. 그런 원인이 탁월하게, 정직하게, 그리고 성실하게 다루어질 때 예수 믿는 결과를 낳게 된다.
7) 기독교와 구도자들의 일상생활 사이를 적합하게 연결하는 일에 전념.
- 구도자들이 기독교를 실생활화 할 수 있도록 전념.
구도자들은 교회의 시설물을 포함하여 교회의 모든 면에서 비판거리를 찾으려고 한다. 이런 이유로 직원이나 자원 봉사자들은 모든 일에 탁월함을 유지하도록 전념한다. 어떤 구도자가 윌로우크릭커뮤니티교회를 방문할 때 만나는 경험은 다음과 같다.
☞ 처음에, 교통정리를 위해 마당 입구에 서 있는 경찰을 만나게 된다. 마당은 깨끗하며 잔디는 정돈되어 있고, 나무나 꽃들이 심겨져 있으며, 보이는 전체가 눈에 흡족함을 제공한다. 마당에 들어서자마자 밝은 오렌지 유니폼을 입은 교통정리팀에 의해 주차를 도움 받는다. 그리고 교회에 다가가면 또 다시 안내원에 의해 도움을 받으며 건물 안에서는 그들이 가질 수 있는 어떤 질문이든지 기쁘게 대답해 주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예배드리는 장소로 들어가면서 구도자는 구도자로서 그에게 필요한 활동 정보를 담은 안내지를 받는다. 그가 자리에 앉으면 그는 그에게 평안함을 주도록 만들어진 녹음된 음악을 듣는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침묵은 불안감을 주기 때문이다. 앉아서 예배시설물을 돌아보면서 그는 기분을 상하게 하는 혹은 미심쩍은 것들이 전혀 없음을 발견하게 된다.
그를 산만하게 할 십자가도 없고 종교적인 상징물들도 없다. 이 모든 경험들은 그에게 평안함을 주고 구도자가 메시지를 순응적으로 받아들이도록 디자인 되어 있다. 구도자들에게 윌로우크릭커뮤니티교회의 리더쉽이 세상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으며,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알고 있음을 음악, 드라마 그리고 미디어를 통해 알리는 것은 중요하다.
* 구도자 예배의 구성요소
음악과 드라마와 성경읽기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모두 설교자의 메시지에 적합하도록 기획된다는 것이다.
음악 : 공연되는 음악은 경쾌하며 현대적이다. 예배중에 모두 함께 부르는 시간, 뮤지컬도 있다.
드라마 : 설교의 서론 역할로 현재의 논쟁거리와 관심들을 유머스럽고 드라마틱하게 그리고 민감하게 다룬다.
성경읽기 : 개인적인 스토리나 시사 사건들과 관계되는 구절들이 읽혀지며 성경이 오늘날의 문화에 적합하다는 사실을 예시한다.
알림 : 구도자 예배에서의 알림은 참석한 모든 사람들을 환영하며, 교회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얻는 방법을 알려주도록 만들어져 있다.
헌금 : 구도자는 그가 손님이며, 이 순서에 참여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을 듣는다. 구도자는 그 자체로 환영을 받으며, 물질적인 기여 때문에 환영 받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메시지 : 메시지는 오늘날 구도자와 기존 신자들의 삶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적합성을 강조하며 현재의 논쟁거리나 문제들을 다룬다.
익명성 : 구도자 예배의 전체 순서에 흐르는 신념은 구도자가 익명성을 바란다는 것이다. 참석자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한번의 짧은 코러스를 부르는 시간에 함께 참여하고 자신이 앉아 있는 주위에 인사하는 정도이다. 윌로우 크릭 커뮤니티 교회에서는 사건 지향적이 아니라 과정 지향적인 선택을 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간증을 통해서 대개 교회에 발을 딛고, 예수 믿기까지 6개월에서 8개월의 기간이 걸리는 것을 인지시키고 있다.
- 사 역 의 인 력 -
☞ 사역의 인력
1. 담임목사 (Senior Pastor)
담임목사의 중요한 책임은 윌로우크릭의 신자들에게 리더쉽, 양육(nourishment), 비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중, 주말 예배의 중요한 설교자이며, 이사회의 의장이며, 당회의 일원이다. 이와함께 사역하는 직원들에 대한 총 관리의 책임을 가지고 있다.
2. 부목사 (Associate Pastor)
부목사는 보조사역의 책임자들이 리더쉽을 가지고 각각의 보조사역을 부흥시키는 것을 감독하는 책임을 갖고 있다. 또 직원들을 모집하는 것, 고용하는 것, 그리고 해고하는 것을 책임지고 있으며, 주말과 주중 예배에 필요에 따라 가르치며, 사역진들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책임이 있다. 그리고 부목사는 담임목사에게 직접 보고한다.
3. 기획 책임자 (Director of Programming)
기획책임자는 모든 예배와 특별 프로그램 행사에 다양함과 영감을 주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기획팀의 전체적인 비젼을 감독하며 담임목사에 의해 주어지는 메시지와 시행되는 프로그램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매년 기획 부서에서 제시되는 음악 연출의 총 연출자의 책임을 맡고 있다. 담임목사에게 직접 보고한다.
4. 경영 관리팀 (The Management)
경영관리팀은 담임목사, 부목사, 기획책임자, 한 명의 장로로서 구성되며 여기에 부목사에게 보고하는 5-6명의 스텝 멤버들이 더해진다. 이 그룹은 기획과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만나며 위원회와 장로들에게 방향을 제시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5. 장 로 (Elders)
윌로우크릭 커뮤니티교회는 8명의 장로로 이루어진 위원회를 가지고 있다. 이 위원회에 속한 각각의 멤버들의 책임은 다음과 같다. 교인들을 전도하고 지도하고 보호하는 것, 성경적인 모범역을 제시하고 질서있는 삶의 모범을 보이는 것, 교회가 성경의 가르침과 훈계를 통해 자라는지 감독하는 것, 진리를 오도하는 자를 징계하는 것, 신앙의 돈독한 지도자들의 도움을 받아 교회 감독하는 것, 교인들의 영적인, 육적인 건강을 위해서 기도하는 것, 장로들은 또한 담임목사와 이사회, 스탭들과 함께 교회 공동체를 살피는 일을 한다.
6. 이사회 (Board of Directors)
이사회는 17명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멤버들은 윌로우크릭 커뮤니티교회의 법적, 재정적 문제들을 감독하는 책임을 부여 받고 있다. 그리고 교회가 소유한 모든 재산들의 보호, 관리, 유지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다.
☞ 윌로우크릭 커뮤니티 교회의 목적
우리는 교회가 그리스도를 높이고, 신자들을 교화하며, 복음을 전하고, 사회에 봉사하는 4가지 목적을 위해서 존재한다고 믿는다.
1) 높임(Exaltation)
: 교회는 그리스도를 위해 존재한다.(빌2;8-11) 교회의 목적은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속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해 값으로 사신 바 되었다는 것, 즉 그리스도만이 우리의 주님이심을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리스도는 모든 권위를 가지시고 보좌에 앉으신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이며, 모든 충성을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유일한 분이시다. 따라서 우리는 모든 일에서 성경에 나타난대로 그의 뜻을 따라서 그의 이름이 영광을 받으시도록 힘써야 한다.(빌 2:8-10, 엡 1:220-3, 고전6:19, 골1:18, 2:8-10, 벧전 1:18-19, 요 19:21, 막 14;16장, 마 27-28장)
2) 교화 (Edification)
: 교회는 자신을 위해 존재한다.(엡4;11-13) 교회의 주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교회에 속한 교인의 삶을 변화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성경을 가르치고 제자도와 개인적인 복음 전도 훈련을 시키는 강력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신자들은 서로를 섬기는 일에 헌신해야 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몸은 상호 의존적인 지체들로서 구성되며 각 사람은 성령으로부터 받은 은사를 전체의 몸을 세우고 서로의 영.육간의 짐들을 지기 위해서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온 몸이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입음으로 연락하고 상합하여 각 지체의 분량대로 역사하여 그 몸을 자라게 하며 사랑 안에서 스스로 세우는 것"을 알고 서로간에 각 사람의 능력의 개발과 사용을 격려하기를 심히 바라고 있다.(엡 4:11-13, 4:16, 딤후 4:2-4, 딛 2:15, 3:14, 갈 6:1-2, 신 6:1-2, 고전 12:-14장, 롬 12;4-8, 히 10:24-25, 3;13, 행 4:34-35, 2:42, 수 1:8)
3) 복음전도 (Evangelism)
: 교회는 복음 선포를 위해 존재한다.(마28:19-20) 우리는 복음 전도의 사명을 교회와 개인의 최우선 순위로서 받아들이며, 가능한 널리, 그리고 효과적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용서의 복음을 전하는 것이 우리의 바램이다. 하나님께서는 신자들을 무장시키시고 다양한 직업과 사역 속으로 들어가서 각 사람의 영역내에서 말과 행위로써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님을 증거하도록 우리를 부르셨다. 하나님은 그의 사랑을 차별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주시며 신자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들의 받은 능력을 충실히 사용 하기를 바라신다. 복음 선포에는 모든 사람에 대한 참 사랑과 관심이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마 28:19-20, 5;13-16, 9:36, 22:37-39, 행 1:8, 골 4:3-6, 막 16:15, 롬 10:14-17, 엡3:16-19, 4:13)
4) 사회봉사 (Extension)
: 교회는 사회 봉사를 위해 존재한다.(마 25:34-36) 복음선포와 함께 교회는 세상으로 나가서 그리스도의 긍휼을 베풀고 악에 대한 선지자적인 항거를 하도록 그리스도에 의해 사명을 부여받았다. 교회는 성경의 명령에 따른 해결책과 개입이 필요로 하는 도덕의 타락, 정치의 부패와 억압, 폭력, 범죄, 불의, 자원의 이용과 부의 분배, 그리고 다른 사회적인 재앙에 의해서 난파된 세상에서 자신의 편안함에만 결코 안주할 수 없다.